✈️ 교환학생/Cloud Solution

클라우드 정의 및 장점

놀러와요 버그의 숲 2023. 8. 25. 18:25
728x90
반응형

정의

클라우드: 인터넷에 연결된 다른 컴퓨터의 자원을 활용하는 것

 

인터넷을 이용해 서버, 디스크, 소프트웨어 등 IT 자산을 임대해서 사용하고, 사용한 만큼의 비용을 서비스 제공자에게 지불하는 방식이다

 

과거

클라우드가 있기 전에는 소규모 회사들이 서버 컴퓨터를 직접 사서 운영했었다. (온 프레미스 시스템)

비싸고, 온도 관리도 해줘야하고, 사용자가 늘어나면 추가 세팅도 해야했다.  -> 돈과 시간이 많이 들어가는 작업이었다. 

 

ex) 블랙 프라이데이 날, 감당하기 힘든 트래픽과 주문량이 고민이었다. 

예전에는 데이터 양이 조금만 많아져도 전송 속도가 느리다.

 

등장 배경 

 

1. 기술의 발달 -> 가상화 기술( 여러 운영체제나 소프트웨어를 시뮬레이션 할 수 있는 기술)  + 분산 처리 기술 + 데이터 베이스 기술 

 

장점

클라우드 서비스가 등장하면서, 유연하게 자원을 많이 빌렸다가, 늘렸다가 할 수 있다. 또한 서버 관리나 보안 등도 알아서 해준다.

이제는 전 세계 사람들이 리니지, 배틀 그라운드 같은 게임을 동시 접속하여 즐긴다. 

클라우드는 데이터 사용량에 따라 단시간에 서버를 증설하고, 안정적으로 서비스를 운영할 수 있는 확장성과 탄력성을 지니고 있다.

(오토 스케일링)

클라우드 컴퓨팅의 가장 큰 업적은 '소유'해야한다고 생각했던 IT 자원을 '대여'하는 것으로 인식을 전환한 것이다. 

 

클라우드 vs 클라우드 컴퓨팅

 

클라우드: 인터넷을 의미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주로 원격 위치에 데이터나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하고 접근하는 개념으로 사용된다.

 

클라우드 컴퓨팅: 인터넷을 통해 원격 서버에서 컴퓨팅 리소스 (CPU, RAM, 스토리지) 등의 서비스를 제공받는 방식. 원격 리소스의 계산 능력까지 포함하는 더 넓은 개념으로 사용된다. 

 

 

하이퍼 바이저가 모든 명령을 컨트롤하고 가상환경을 구축하다 보니 여러 OS를 구동할수록 힘이 떨어졌다.

컨테이너 가상화

 

클라우드 서비스 방식

IaaS(Infrastructure as a Service) - 인프라를 제공받음 (기본적인 치킨 재료들만 제공받음)

PaaS(Platform as a Service) - 플랫폼을 제공받음 (치킨 배달집이용)

SaaS(Software as a Service) - 소프트웨어를 제공받음 (장소, 세팅까지 모두 제공받음. 치킨집가서먹음)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 퍼블릭 클라우드 + 프라이빗 클라우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