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면접 3

Cross-Site Scripting (XSS)을 설명하고, 해결 방안은 무엇인가?

XSS(Cross-Site Scripting) : 관리자가 아닌, 권한이 없는 사용자가 웹 사이트에 스크립트를 삽입하는 공격 기법 특징 대부분 사용자가 글을 쓰고 읽을 수 있는 게시판에 많이 발생하지만, 사용자의 입력 값을 웹 페이지에 보여주는 곳에서도 발생한다. 악의적인 사용자가 C&C 서버로 리다이렉션 하기 위해 리다이렉션 스크립트를 주입하여 중간 경유지로 활용하기도 하고, 사용자의 쿠키를 탈취하여 세션 하이재킹(Session Hijacking) 공격을 수행하기도 한다. 위험성 1. 쿠키 정보 및 세션ID 획득 2. 시스템 관리자 권한 획득 3. 악성코드 다운로드 4. 거짓 페이지 노출 해결방안 1. 입출력값 검증 XXS는 입출력 값 검증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발생하는 취약점이다. 따라서 서버측에..

반응형 웹과 적응형 웹의 차이는? 🤔

반응형 웹: 미디어 쿼리를 사용하여 화면의 크기를 사용하고 유연한 이미지와 그리드로 화면의 크기의 변화에 그에 맞는 크기가 된다. 적응형 웹: 서버나 클라이언트에서 웹에 접근한 디바이스를 체크하여 그 디바이스에 최적화된 마크업을 호출한다. 반응형 웹과 적응형 웹의 차이점 반응형 웹 장점: 하나의 템플릿만을 사용해 다양한 사용자와 기기에 대응할 수 있어 개발이 간편하다. 단점: 사용자는 단 하나의 기기만으로 접속하지만 그 경우에도 모든 기기를 위한 CSS를 전부 다운로드 해야하니 데이터를 낭비하고 로딩시간을 늘리는 단점을 가진다. 적응형 웹 장점: 사용자의 기기에 맞는 템플릿 및 CSS만 다운로드하므로 데이터 낭비가 적고 로딩 속도가 빠르다. 단점: 각각의 기기별로 별도의 템플릿을 작성해야하므로, 개발이 ..

api broken pipe 발생원인과 해결 방법은 무엇인가?

발생원인 1)잦은 입출력 호출로 인하여 발생한다. 요청 처리가 끝나기도 전에 새로고침이나 등록 버튼을 연속으로 눌러 재요청을 여러번 보내는 경우가 그러하다. 이 경우 소켓이 끊어지면서 발생한다. 2) 클라이언트가 받은 응답 데이터를 적절한 타이밍에 처리하지 못하면 발생하는 Excepiton이다. 네트워크가 느리거나 서버의 cpu 이슈로 느리게 처리되는 경우가 그러하다. 두 원인 모두 공통점이 있다. 두 소켓상의 통신에서 소켓을 담당하는 프로세서(혹은 스레드)가 어떤 이상이 생겨서 종료가 된 상황이다. 또한 상대 소켓은 이를 알지 못해서 데이터를 전송하려는데 문제가 생긴 상황이다. 해결 방법: 1) request 후 response 기다리기 : 클라이언트에서 보낸 데이터를 받고 응답을 기다리도록 설정한다...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