멋쟁이사자처럼 4

자바스크립트 ) 함수의 호출 / 참조에 의한 전달과 외부 상태 변경

12.5 함수의 호출 (p.168~174) 12.5.1 매개변수와 인수 #함수를 호출하는 법 함수는 함수를 가리키는 식별자와 한쌍의 소괄호인 함수 호출 연산자로 호출한다. 함수 호출 연산자 내에는 0개 이상의 인수를 쉼표로 구분해서 나열한다. 매개변수에 인수가 순서대로 할당되고, 함수 몸체의 문들이 실행되기 시작한다. // 함수 선언문 function add(x, y) { return x + y; } // 함수 호출 // 인수 1과 2는 매개변수 x와 y에 순서대로 할당되고 함수 몸체의 문들이 실행된다. var result = add(1, 2); -함수는 매개변수의 개수와 인수의 개수가 일치하는지 체크하지 않는다. 함수를 호출할 때 매개변수의 개수만큼 인수를 전달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

📙 (JAVASCRIPT) 2021.12.14

자바스크립트는 어떻게 HTML을 조작하는 것일까? (feat. DOM)

자바스크립트의 가장 중요한 역할 중 하나는 HTML 문서를 조작하는 것이다. 그래 그건 알겠어. 그런데 정확히 어떻게 조작해? 이것에 대해서 의문점을 가져본적이 없다. 그냥 태그 써서 요소를 불러왔지. (이 글은 계속 업데이트 될 예정이니 내용이 빈약하더라도..걱정 말아라) MDN 문서를 살펴보니, 어떻게 조작하는지를 알려면 DOM의 개념을 이해해야 한다고 한다. 한번 살펴보자. Introduction to the DOM The Document Object Model (DOM) is the data representation of the objects that comprise the structure and content of a document on the web. -> DOM 일단 그자체에서 유추해보..

📙 (JAVASCRIPT) 2021.11.26

Known to unknown! 📚 당연한것을 당연하지 않게!

현재 시간 새벽 6시 11분. known to unknown 프로젝트의 서막을 알린다. 멋쟁이 사자처럼 프론트엔드 스쿨 멘토 Gary님과 개발자 조은님의 추천으로 시작하게 되었다. 🙇‍♀️ known to unknown 프로젝트는 아는 것에서부터 시작해서 당연하게 생각한 지식에 한 번더 의문을 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즉, 당연한 것을 당연하게 여기지 않는 비판적인 자세로, 더 딥하게 컴퓨터 언어를 이해하고자 한다. 그 시작은 자바스크립트로 하려고 한다 (나는 자바스크립트 전문가가 되고 싶다. 자바스크립트와 사랑에 빠지고 싶다) 이 글을 보는 사람들이여. 부디 내가 잘못 이해한 개념이 있거나, 피드백이 있다면 환영이다. 나는 마음을 따뜻하게 해주는 위로보다, 진심 어린 팩트 폭력을 선호한다. (댓글로 ..

📙 (JAVASCRIPT) 2021.11.26

멋쟁이사자처럼 프론트엔드 스쿨 1일차 후기(2021.10.29)

간단히 이두희 대표님 특강 들은 후기와 10월 29일 배운 내용을 쓰려고 한다 ㅎㅎ 특강에서 느낀점 - 영어로 문서보는 습관을 길러야한다 (stackoverflow만 읽어버릇 해야한다) -> 근데 읽어봤는데 아직 잘 모르겠다. 지킬 수 있을지 모르겠다 -하나의 언어만 주구장창 파기 (학창시절에도 공부 못하는 애는 여러 문제집을 1단원만 끝내고 만다) -과제가 아니라, 가족,친구들이 쓸 수 있는 서비스, 놀래켜 보는 것을 목표로 공부하기 ---------------------- 배운 내용 1. 브라우저에게 text를 어떻게 그려달라는지 말해주는 것. 위 태그가 없으면 한글, 특수문자들이 깨져서 나온다 2. padding을 넓히면 box크기도 같이 커져버린다 3. line-height line-box의 높이..

📓 개발 일지 2021.10.31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