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반응형 웹: 미디어 쿼리를 사용하여 화면의 크기를 사용하고 유연한 이미지와 그리드로
화면의 크기의 변화에 그에 맞는 크기가 된다.
적응형 웹: 서버나 클라이언트에서 웹에 접근한 디바이스를 체크하여 그 디바이스에 최적화된 마크업을 호출한다.
반응형 웹과 적응형 웹의 차이점
반응형 웹
장점: 하나의 템플릿만을 사용해 다양한 사용자와 기기에 대응할 수 있어 개발이 간편하다.
단점: 사용자는 단 하나의 기기만으로 접속하지만 그 경우에도 모든 기기를 위한 CSS를 전부 다운로드 해야하니
데이터를 낭비하고 로딩시간을 늘리는 단점을 가진다.
적응형 웹
장점: 사용자의 기기에 맞는 템플릿 및 CSS만 다운로드하므로 데이터 낭비가 적고 로딩 속도가 빠르다.
단점: 각각의 기기별로 별도의 템플릿을 작성해야하므로, 개발이 복잡해진다.
긴장된 version
반응형 웹은 하나의 템플릿만을 사용해 다양한 기기에 대응할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하지만, 모든 기기를 위한 CSS를 전부 다운로드 해야하므로, 데이터를 낭비하고 로딩 시간이 더 지연될 수 있습니다.
반면, 적응형 웹은 기기에 맞는 CSS만 다운로드하므로, 데이터 낭비가 적고 로딩시간이 빠릅니다.
하지만, 기기별로 별도의 템플릿 작성을해야하기에 개발이 복잡해지는 단점이 있습니다.
'🗣 기술면접 대비' 카테고리의 다른 글
SPA(Single Page Application)로 구성된 페이지에서 SEO(Search Engine Optimization)를 할 수 있는 방법은 무엇일까? (1) | 2022.01.09 |
---|---|
Cross-Site Scripting (XSS)을 설명하고, 해결 방안은 무엇인가? (0) | 2022.01.08 |
api broken pipe 발생원인과 해결 방법은 무엇인가? (0) | 2022.01.07 |
기술 면접 대비 시작!! (0) | 2022.01.07 |